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연결재무제표란? 작성대상, 작성방법, 장단점

회계이야기

by J의 회계, 세무 실무 2023. 2. 20. 12:25

본문

연결재무제표란 무엇인가?

법적으로 다른 회계실체지만 하나의 경제적 실체를 형성하는 경우 이들을 하나의 회계실체로 보고 단일의 재무제표를 작성하고 보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회계. 즉, 지배기업과 종속기업의 자산, 부채, 자본, 당기손익 등을 합쳐서 하나의 재무제표를 만드는 것. 연결재무상태표, 연결손익계산서, 연결자본변동표, 연결현금흐름표, 연결주

연결재무제표의 장단점은?

장점 - 연결회계 전체의 정보제공, 내부거래를 통한 손익조작 방지, 경제적 집중의 지표로 사용, 지배기업의 평가에 유용

단점 - 정보이용자들은 별도재무제표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짐, 업종과 회계처리방법의 차이를 무시한 정보의 제공, 개별 실체의 특유한 경제적 실질을 반영하지 못함

연결재무제표 작성대상은?

K-IFRS(한국체택국제회계기준)을 적용하는 상장회사나 금융회사

종속회사에 대한 지배력을 행사하는 외부감사 대상인 지배회사

 

(그러나 종속회사만 외부감사 대상일 경우, 지배회사와 종속회사가 모두 외부감사대상이 아닐 경우에는 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하지 않아도 됨)

 

작성면제 (모두충족시)

1. 지배기업이 다른 기업의 종속기업인 경우(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주주에게 알리고 주주들이 반대하지 않는 경우)

2. 지배기업의 채무상품이나 지분상품이 공개시장에서 거래되지 않는 경우

3. 지배기업이 공개시장에서 증권을 발행하기 위하여 감독기관에 재무제표를 제출한 적이 없고 제출하는 과정에 있지도 않은 경우

4. 투자기업이 시세차익이나 투자수익을 얻기 위한 목적으로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얻고 모든 투자자산을 공정가치로 측정하고 평가하는 경우

외부감사의 대상

직전 사업연도의 말의 자산, 부채, 종업원 수 또는 매출액 등 다음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회사를 말한다.

1. 직전 사업연도 말의 자산총액이 500억 이상인 회사

2. 직전 사업연도의 매출액(직전 사업연도가 12개월 미만인 경우에는 12개월로 환산하며, 1개월 미만은 1개월로 본다)이 500억 원 이상인 회사

3. 다음 각 목의 사항 중 2개 이상에 해당되는 회사

ㄱ. 직전 사업연도 말의 자산총액이 120억 원 이상

ㄴ. 직전 사업연도 말의 부채총액이 70억 원 이상

ㄷ. 직전 사업연도의 매출액이 100억 원 이상

ㄹ. 직전 사업연도의 말의 종업원([근로기준법])제2조 제1항 제1호에 따른 근로자를 말하며,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은 제외한다.)이 100명 이상

1) [소득세법 시행령] 제20조 제1항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

2) [파견근로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2조 제5호에 따른 파견근로자

 

연결재무제표 작성방법

1. 주식취득의 회계처리

주식취득 시    :   종속기업 투자주식 xxx     /       현금 xxx

연결제거분거

자본 xxx                 /  종속기업투자주식 xxx

자산 xxx                    비지배지분  xxx

영업권 xxx

 

'회계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ERP란 무엇인가, 이직시 알아야할점  (0) 2023.02.12
K-IFRS 와 K-GAAP 의 차이점  (0) 2023.02.12

관련글 더보기